좋은 프로그램은 마음의 여유에서 나온다.
이클립스를 이용한 헬로우 월드 프로젝트 크로스 컴파일 하기 메뉴의 File -> New -> C++ Project를 눌러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창을 실행합니다.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해 주고 Project type 는 Executable -> Empty Project를 선택합니다. 오른쪽의 Toolchains는 Linux GCC를 선택한 후 Finish 버튼을 클릭합니다. 프로젝트를 생성한 후 소스파일을 만들겠습니다. 왼쪽의 Project Explorer에서 생성한 프로젝트를 선택한 후 메뉴의 File -> New -> Source File 을 선택합니다. 소스파일명을 입력하고 Finish를 누르면 파일이 생성됩니다. 헬로우 월드 프로그램을 작성합니다. 에러와 물음표가 막나오네요.. arm 컴파일러와 헤더파..
레퍼런스 : https://wiki.ubuntu.com/RecoveryModehttp://www.psychocats.net/ubuntu/resetpassword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해서 비밀번호 변경하기 우분투 부팅시 쉬프트키를 누르고 있으면 GNU GRUB가 나온다. Advanced options for Ubuntu를 선택한다. 두번 째 메뉴인 recovery를 선택한다. 로딩을 쭉 하고 아래와 같이 리커버리에 진입한다. 리커버리 메뉴중에 root를 선택하면 커맨드명령어를 칠 수 있다. 우분투 파일시스템이 read-only로 돼있기 때문에 rw모드로 다시 마운트 해준다. $ mount -o rw, remount / 변경할 사용자 계정을 확인한 후 passwd 명령어로 패스워드를 변경한다. $ ls /h..
리눅스를 설치했으므로 arm gcc를 설치하겠습니다, 라즈베리파이 깃허브에가시면 라즈베리파이와 관련된 소스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. 이중에 저희가 사용할 것은 tools 입니다. https://github.com/raspberrypi/tools 제일먼저 컴파일러 다운로드를 위해 터미널을 실행 후 git를 설치합니다. 터미널은 왼쪽 아이콘들 중 맨 위에 dash home에서 검색하시면 됩니다. $ sudo apt-get install git 설치 후 아래 명령으로 설치 확인 $ git --version 64비트 리눅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크로스 컴파일을 위해 아래의 명령어로 32비트 라이브러리와 헤더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. 32비트 리눅스를 설치하신 분들은 생략합니다. $ sudo apt-get inst..
비주얼 박스 이용해서 리눅스 설치하기. 이미 리눅스가 설치되어있으신 분들은 2번 페이지부터 보시면 됩니다. http://lky1001.tistory.com/68 설치 환경 윈도우 7오라클 버추얼박스(가상머신)리눅스 우분투 12.10 32bit 입니다. 라즈베리파이는 raspbian 2012-12-16일 버전입니다(현재 최신 버전) 버추얼 박스를 다운받고 설치합니다. 잘 알려진 vmware가 있지만, 무료이고 오픈 소스로 오라클에서 배포하는 비주얼 박스 사용. 아래 주소에서 설치 파일 및 소스코드, 메뉴얼 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. https://www.virtualbox.org/wiki/Downloads 다운로드 버전은 4.2.6입니다. 다운받은 버추얼 박스를 설치합니다. 설치 중간에 나오는 네트..